우리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을 담은 거실, 가장 편안하고 실용적인 공간 만들기
거실은 더 이상 TV만 보는 공간이 아니죠. 우리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아 가장 편안하고 실용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획일적인 인테리어를 벗어나, 가족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거실을 만드는 핵심 가이드를 안내해 드릴게요!
1. 우리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이 우선! ‘거실의 새로운 정의’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 가족은 거실에서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가족 구성원의 연령대와 취미에 따라 거실의 기능이 완전히 달라져야 합니다.
거실 기능의 재정의: 4가지 유형
| 거실 유형 | 라이프스타일 | 핵심 가구 및 요소 |
| 소통형 거실 | 가족 간의 대화, 보드 게임, 티타임이 잦은 가족 | 대형 테이블, 회전 의자, 마주 보는 소파 배치 |
| 학습형 거실 | 아이들의 학습 공간, 부모의 재택 근무가 필요한 가족 | 긴 책상, 빌트인 책장, 눈의 피로를 줄이는 조도 높은 조명 |
| 문화형 거실 | 영화 감상, 독서, 음악 감상을 즐기는 가족 | 대형 스크린, 리클라이너 소파, 플로어 스탠드, 빔 프로젝터 |
| 놀이형 거실 | 어린 자녀를 둔 가족, 활동적인 놀이가 필요한 가족 | TV 대신 매트/러그 공간 확보, 낮은 수납장, 안전한 모서리 마감 |
- 노하우: 우리 가족에게 가장 중요한 활동 1~2가지를 정하고, 그 활동을 위한 공간을 거실의 가장 넓은 면적에 배치하는 것이 실용적인 거실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2. 편안함을 극대화하는 ‘소파’와 ‘가구 배치’의 비밀
소파는 거실의 주인공이자 편안함의 상징입니다. 가족 구성원의 수와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소파와 가구 배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소파 선택: 활동성과 휴식의 균형
- 대가족/소통 중시: ㄱ자나 ㄷ자 형태의 모듈형 소파를 선택하여 가족 구성원 모두가 편안하게 앉아 마주 보고 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세요. 패브릭 소재는 따뜻하고 아늑한 느낌을 더해줍니다.
- 휴식 중시/영화 감상: 리클라이너 기능이 있는 소파나, 팔걸이가 넓어 베고 눕기 좋은 와이드형 소파를 선택하여 완벽한 휴식 공간을 확보하세요.
테이블 대신 ‘이동형 사이드 테이블’ 활용
거실 중앙에 크고 무거운 센터 테이블을 두면 활동 공간이 좁아지고, 아이들의 놀이에도 방해가 됩니다.
- 실용적인 대안: 가볍고 이동이 편리한 작은 사이드 테이블 여러 개를 소파 주변에 배치하세요. 필요할 때만 끌어다 쓰고, 평소에는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TV를 위한 ‘맞춤 가구’ 선택
TV가 여전히 거실의 중요한 요소라면, 매립형 빌트인 가구를 활용하여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히든 수납: TV 주변의 셋톱박스, 공유기, 각종 전선 등은 도어가 있는 거실장이나 빌트인 수납장 안에 완전히 숨기세요.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거실은 심리적인 편안함을 높여줍니다.
- 노하우: TV를 시청하지 않을 때는 미술 작품이나 자연 풍경을 띄워 놓는 아트 모드 기능을 활용하여 거실을 갤러리처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실용성과 분위기를 더하는 ‘수납’과 ‘조명’ 설계
편안하고 실용적인 거실은 잘 숨겨진 수납과 상황에 맞는 조명에서 완성됩니다.
수납의 원칙: ‘보여주기’와 ‘숨기기’의 구분
- 숨기기 수납: 잡동사니, 영수증, 약 등 지저분한 물건은 문이 달린 수납장이나 바구니에 넣어 시야에서 완전히 치워야 거실이 깔끔하게 유지됩니다.
- 보여주기 수납: 가족의 추억이 담긴 사진, 좋아하는 책, 예쁜 화분 등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것들만 오픈형 선반에 전시하여 가족의 개성을 드러내세요.
- 키즈 거실 팁: 아이 장난감은 뚜껑이 있는 예쁜 바구니나 바퀴 달린 트롤리에 보관하여 아이 스스로 쉽게 꺼내고 정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조명 설계: 상황에 맞게 빛을 조절하세요
하나의 메인 조명만 사용하는 것은 편안한 거실을 만드는 데 방해가 됩니다. 여러 개의 조명을 조합하는 레이어드 조명을 활용해야 합니다.
- 메인 조명 (기본 활동): 슬림형 LED 평판등을 사용하여 평소 생활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합니다.
- 간접 조명 (휴식/무드): TV 아트월 상단, 또는 소파 뒤 벽면에 전구색(3000K) 간접등을 설치하고, 독서나 취미 활동을 위한 플로어 스탠드를 배치하세요.
- 노하우: 메인 조명을 끄고 간접등만 켜면 따뜻하고 아늑한 무드가 연출되어 가족들이 더욱 편안함을 느끼며 대화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4. 마지막 터치: ‘패브릭’과 ‘컬러’로 완성하는 편안함
가구의 딱딱한 느낌을 부드럽게 만들고, 거실 전체에 따뜻한 감성을 불어넣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부드러운 패브릭 소재 활용
소파 위에 무릎 담요나 질감이 좋은 쿠션을 넉넉하게 배치하세요. 바닥에는 소파 크기보다 큰 부드러운 러그를 깔아 발이 닿는 촉감을 편안하게 만들고, 거실 공간을 아늑하게 구획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식물과 자연 소재로 생기 불어넣기
거실 한쪽에 공기 정화 식물이나 키가 큰 관엽식물을 배치하여 생기를 더하세요. 또한, 라탄, 우드, 또는 면 소재와 같은 자연 소재의 소품을 활용하면 심리적인 안정감과 편안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우리 가족의 라이프스타일 을 담은 거실은 가장 행복한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거실 기능 재정의’부터 ‘실용적인 가구 및 조명 설계’까지, 가족 구성원 모두의 의견을 반영하여 세상에서 가장 편안하고 실용적인 우리 집 거실을 완성하시길 응원합니다!
아파트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