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바닥 장판 견적 잘 받는 방법 과 비용 범위 총정리
집 분위기를 바꾸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장판 교체입니다.
특히 낡은 바닥을 새 장판으로 바꾸면 집이 한층 더 깨끗하고 따뜻한 느낌으로 바뀌죠.
하지만 막상 견적을 받아보면 “왜 이렇게 비싸지?” 하는 생각,
많이 해보셨을 거예요.
광고에서는 평당 1만 원대라고 하지만,
실제 결제금액은 훨씬 더 나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은 아파트 장판 견적을 잘 받는 방법과 함께
평수별 예상 비용 범위를 총정리해드릴게요.
1. 평당 단가만 믿지 마세요 – 총 견적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장판 시공 견적은 단순히 평당 단가로만 결정되지 않습니다.
실제 견적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 자재비: 장판 자체의 가격 (브랜드, 두께, 디자인에 따라 다름)
- 인건비: 시공 기사 인건비
- 부자재비: 본드, 실리콘, 걸레받이, 몰딩 등
- 철거 및 폐기물 처리비: 기존 장판 제거 비용
- 운반비 및 출장비: 지역, 거리 등에 따라 추가
즉, 평당 단가는 자재비만 포함된 경우가 많고,
최종 결제금액은 이 모든 항목을 더한 총액입니다.
따라서 견적을 받을 땐 반드시
“최종 결제금액 기준으로 문의”해야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
2. 장판 자재비 – 브랜드와 두께에 따른 가격 차이
장판 자재비는 브랜드와 두께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장판 종류 | 두께(T) | 평당 자재비 (평균) | 특징 |
---|---|---|---|
합리형 일반 장판 | 1.8T~2.2T | 1만 2천원~1만 8천원 | 저렴, 임대주택·전세용 |
중급형 장판 | 3.0T~3.2T | 1만 8천원~2만 5천원 | 내구성↑, 일반 가정 추천 |
고급형 장판 | 4.5T 이상 | 2만 5천원~3만 5천원 | 층간 소음 감소, 방음 효과 |
※ 브랜드별 예시: KCC, LG Z:IN, 한화홈데코
고급형 장판일수록 내구성과 방음성이 뛰어나지만
인건비와 부자재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인건비와 부자재비 – 숨은 비용의 핵심
장판 시공에서 인건비는 전체 견적의 20~30%를 차지합니다.
보통 1인 시공 기준 15만~25만원 정도이며,
면적이 작거나 구조가 복잡할수록 단가가 높아집니다.
부자재 비용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데요,
본드(1~2만 원), 실리콘(5천~1만 원),
걸레받이(평당 5천~1만 원), 몰딩, 문턱 마감 등
평균적으로 총비용의 10~20%를 차지합니다.
4. 평수별 장판 시공 비용 범위
아래는 일반적인 중급형 장판(3T 기준)을 기준으로 한
아파트 장판 시공 비용 예시입니다.
평수 | 예상 총비용 (자재+인건비+부자재 포함) |
---|---|
20평형 | 약 70만~90만원 |
30평형 | 약 100만~130만원 |
40평형 | 약 130만~160만원 |
※ 기존 장판 철거 포함 시 +10만~20만원 추가
※ 4.5T 고급형 장판 사용 시 약 20~30% 상승 가능
결국 자재 선택과 시공 조건에 따라
총 비용이 달라지므로, 견적을 받을 때는
“자재 브랜드 / 두께 / 시공 범위”를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5. 견적 잘 받는 핵심 팁 3가지
최종 결제금액 기준 비교
“평당 얼마”가 아니라, 총액 기준 견적서를 요청하세요.
세부 항목(자재, 인건비, 부자재)을 구분해 확인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현장 방문 견적 요청
전화 견적은 오차가 큽니다.
직접 방문 시 공간 구조, 문턱, 몰딩 유무 등을 파악해
정확한 견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교견적 필수
최소 2~3곳의 업체에 견적을 받아보세요.
동일 자재 기준으로 비교하면
과한 추가비용이나 불필요한 부자재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견적의 핵심은 ‘투명성’
장판 시공은 단순히 자재를 사는 것이 아니라
전문 시공 서비스를 함께 구매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렴한 평당 단가보다
정확한 총액 견적, 시공 품질, AS 여부가 더 중요합니다.
견적서를 꼼꼼히 비교하고,
현장 확인 후 계약하는 것이
가성비 좋은 장판 시공의 핵심입니다.
아파트 바닥 장판 견적 잘 받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