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리모델링 준비 중 ? 아파트 철거 순서 제대로 알아두세요!
요즘 셀프 인테리어나 리모델링에 도전하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최근에 집을 손보면서 ‘철거’라는 과정을 처음 겪어봤는데요. 생각보다 훨씬 중요하고 복잡하더라고요.
처음엔 단순히 “그냥 다 뜯어내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는데,
아파트 철거는 순서와 기준 없이 진행하면 오히려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걸 몸소 느꼈습니다
오늘은 셀프 리모델링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아파트 철거 순서와 필수 주의사항을 자세히 정리해볼게요.
안 보면 진짜 후회할 수 있어요!

아파트 철거, 순서대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
철거는 단순히 부수는 작업이 아닙니다.
정확한 순서로 차근차근 진행해야 전체 공정이 매끄럽게 이어지고,
불필요한 시간 낭비나 사고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아파트처럼 공동주택 구조에서는
층간소음, 분진, 안전 문제까지 꼼꼼히 챙겨야 합니다.

아파트 철거 순서 총정리!
1. 관리사무소 신고 및 보호 작업
- 철거 전에 관리사무소에 공사계획서 제출 필수!
- 엘리베이터, 복도 바닥 등 공용공간 보양 작업도 함께 진행해야 해요.
- 작업 시간도 규정되어 있어요: 보통 오전 9시~오후 5시까지만 가능
2. 가전제품ㆍ고정 가구 철수
- 붙박이장, 싱크대, 욕실장, 보일러 등 고정된 물건들을 먼저 철거합니다.
- 전기, 가스 설비와 연결된 제품은 전문가 작업을 권장해요
3. 바닥 마감재 철거
- 장판, 마루, 데코타일 등 기존 바닥재를 제거합니다.
- 바닥에 본드나 몰탈이 남아 있을 경우, 긁어내는 작업도 필요해요.

4. 벽면 마감재 철거
- 벽지, 몰딩, 타일 등을 제거하는 단계로, 분진과 소음이 가장 심한 구간입니다.
- 욕실 벽 타일은 특히 배관 손상 주의!
5. 천장 마감재 및 조명 철거
- 우물천장, 실링 등 천장 마감재는 낙하 사고 주의하면서 작업해야 해요.
- 조명 철거 시 전기 차단은 필수! 감전 사고 방지를 위해 전문가 권장
6. 폐기물 정리 및 청소
- 철거가 끝나면 나오는 폐자재들을 분류하고 수거해야 해요.
- 콘크리트, 유리, 철물 등 종류별 분리배출 필요.
- 청소까지 마무리해야 다음 시공이 가능해요

철거할 때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① 구조물은 절대 철거 금지!
- 내력벽이나 기둥 등은 절대 건드리면 안 됩니다.
- 철거 전 구조 확인은 필수예요.
② 전기ㆍ가스는 전문가에게 맡기기
- 함부로 배선이나 배관을 손대면 화재ㆍ가스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③ 분진ㆍ소음 방지 대책 세우기
- 작업 전, 문틈 막기 / 환풍기 가동 / 비닐 커버링 등으로 먼지 방지.
- 이웃에게 사전 공지하는 매너도 잊지 마세요
④ 폐기물 합법 처리 필수!
- 불법 투기 시 과태료 부과되며, 건설폐기물 전문업체 이용 권장.

셀프 철거, 정말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초 철거는 셀프로 가능하지만,
전기ㆍ배관ㆍ가스 설비는 전문가와 함께하는 게 안전합니다.
특히 오래된 아파트는 철거 중 예상치 못한 문제가 터지는 경우도 많아요.
비용 아끼려다 오히려 시간ㆍ비용 더 나가는 일 생기지 않도록, 꼭 전문가 조언 받으세요!

마무리하며
철거는 인테리어의 시작이자,
모든 공정의 흐름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순서 하나하나 놓치지 않고 체크하면,
셀프 리모델링도 충분히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해낼 수 있어요.
셀프 리모델링 준비 중